20년 8월부터 개발 공부를 시작하여 22년 7월에 첫 취업을 했습니다.(🔗 이 시기의 과정을 돌아보는 글 20.08 - 22.01)
개발자 직무에 합류한 이후 다양한 프로젝트를 참여하며 개발자로서 크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엘리베이터 TV 광고 플랫폼을 운영하는 회사에서 2년간 웹 개발을 맡아, 약 6.6만 대의 단말기를 통해 매일 772만 명에게 광고를 송출하는 서비스를 개발 및 운영했습니다.
주요 경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엘리베이터 TV 단말기별 광고 송출 횟수 검증 및 이상 징후 탐지 기능 구현
- 광고 송출 로그의 일별, 월별 집계 및 결제 처리 테이블 자동 생성
- 엘리베이터 TV 단말 제어 웹앱 개발
- 광고 캠페인 등록, 수정, 조회 기능을 갖춘 관리자용 웹앱 개발
- 자사 홈페이지 이벤트 화면과 백엔드 API 설계, 구현
- 레거시 시스템 유지보수, 기존 프로젝트의 비즈니스 로직 개선 및 안정성 향상
- GitHub Actions로 빌드, 테스트, 배포 자동화
- AWS CDK로 네트워크, 컴퓨트, 스토리지 리소스 코드화 및 배포
주요 참여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 AWS 클라우드로의 전환
기존에 AWS EC2에서 운영되던 레거시 시스템을 완전히 AWS 클라우드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웹 서비스를 Amazon EKS의 컨테이너 아키텍처로 전환했습니다. - 서버리스 아키텍처 기반 웹 서비스 구축
엘리베이터 TV 단말 제어 등 주요 서비스에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도입했습니다. 백엔드에서는 TypeScript와 Node.js를 활용해 시스템을 구축했고, 프론트엔드는 React로 구축했습니다. 테스트 코드 작성부터 배포 및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체 개발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사내의 다양한 Excel 데이터를 통합하고 처리하기 위해 Amazon MWAA(Managed Workflows for Apache Airflow)를 활용해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했습니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의 자동화와 데이터 엔지니어링 워크플로우를 경험했습니다. - SaaS 솔루션 통합 지원
회사 전반에 걸쳐 Salesforce(영업용), Okta(회사 구성원 인증과 인가), Datadog(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및 취약점 관리) 등 여러 SaaS 솔루션 도입을 지원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들을 통해 내부 인프라를 강화하고 외부 시스템과의 통합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었습니다.
2020년 8월 프로그래밍을 시작하여 2022년 7월 첫 개발자 직무에 합류한 이후, 이러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이끌고 참여하며 개발자로서 크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동시에 실무 경험을 통해 컴퓨터 과학과 공학의 기초 이론이 얼마나 중요한지 절실히 깨달았습니다.
2024년 4월 퇴사 이후, 컴퓨터 아키텍처, 운영체제, 네트워크, 자료구조, 알고리즘 등 핵심 과목의 기초를 단단히 다지는 데 집중하며 자기 계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실무 경험 위에 탄탄한 이론적 토대를 쌓아 깊이 있는 통찰력과 논리적 사고를 갖춘 개발자로 거듭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