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네이티브 자바'
면접 보게된 회사의 CTO님 께서 변역한 책입니다.
AWS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 어떠한 장점이 있고 어떤 이유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려 하는 걸까?
처음 Serverless를 접했을 때는 형체가 없는것 처럼 느껴져서 당황스러웠습니다.
하지만, 서비스를 사용해보며 과제를 만들어 가던 중 느낀점이 있었습니다.
'경제성의 이점과 관리의 용이성.'
서버 컴퓨터에 대한 관리를 직접적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 이에 따라 시간과 자원을 아낄 수 있다는 이점을 알게 됐습니다.
만들면 운영까지.
"아마존닷컴 기술 진화의 많은 부분은 끊임 없는 성장을 통해, 가용성과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초확장성(ultra scalability)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었습니다."
일체형 어플리케이션 -> 더 많은 팀이 관여 -> 코드 베이스의 책임 한계와 소유권이 점점 불투명해짐. -> 확장성이 떨어짐.
데이터베이스처럼 공유되는 자원이 전체적인 비지니스 확장을 어렵게 만든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든 데이터베이스든 공유되는 자원이 늘어날수록, 운영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기능을 추가할 때 개발팀이 가질 수 있는 제어권은 축소된다.
초확장성을 확보하려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을 다르게 가져가야 할 필요가 있다.
You build it, you run it.
'기록 > 오늘 내가 학습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Athena (2) | 2023.05.08 |
---|---|
22.08.17 깃허브 사용했던 명령어 모음 (0) | 2022.08.17 |
AWSOME DAY Online Conference 참여 후기 (0) | 2022.06.09 |
Lambda, DynamoDB 를 사용한 User Create API 구축. (0) | 2022.06.03 |
Difference between Abstract Class and Interface in Java (0) | 2022.03.26 |